본문 바로가기

학점은행제/기사&산업기사

나무의사 응시자격 알아봅시다

 

안녕하세요, 산호쌤입니다 : )

 

사람들은 건강상태가 좋지 않거나 병에 걸렸을 때

병원에 가서 의사선생님께 진찰을 받곤 하죠.

 

진찰을 받은 후에는 처방받은

약을 복용하고 완쾌되는데요

 

나무도 사람과 똑같습니다. 나무도 아플 때는

나무병원의 나무의사들에게 치료를 받죠.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산림의 파괴로

인해 나무 한 그루 한 그루들이 소중한 요즘

 

수목이 받은 피해를 치료해주는 나무의사의 직업이

재조명 되어 관심을 가지고 나무의사 시험을 준비하고

계신 분들의 수요가 늘고 있는데요,

 

그러나 나무의사는 시험은 커녕 응시자격

맞추기에도 벅차 힘들어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나무의사라는 직업명만 알고 자세한 사항을 알지

못한 채로 준비를 하기엔 너무 버거운 자격증이거든요.

 

때문에 저는 오늘 가장 효율적이고 빠르게

나무 의사 시험의 응시자격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해드리려고 합니다.

 

평소 나무의사라는 직업에 관심을 가지고 계셨거나

응시자격 맞추는 방법이 궁금하셨다면

 

잠시만 이 글에 집중하시고 후에

다양한 정보 얻어가셨음 좋겠습니다.

 

 

나무의사는 말 그대로 나무를 위한 의사인데요,

수목의 피해를 진단 및 처방하고 피해를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활동을 합니다.

 

나무는 조금이라도 잘못 관리해도 아프다고 합니다.

때문에 전문적인 지식을 지닌 채로 관리 및 치료를

해주어야 하는데,

 

전문가가 아닌 사람의 고독성, 부적정 약제 사용이

증가하면서 수목 진료의 전문성 강화와 올바른

수목치료방법들을 제시하기 위해서 도입되었다 합니다.

 

간혹 수목치료기술자와 나무의사를 헷갈려

하시는 분들이 있어 쉽게 설명을 해드리자면

 

나무의사는 의사선생님,

수목치료기술자는 간호사라고 봐주시면 됩니다.

 

나무의사는 기존에도 존재하는

제도였지만 민간으로 운영이 되었었는데요,

 

2018년 6월부터 산림청의 주도 아래

새로운 산림보호법이 시행되었고,

 

자기 소유의 수목이 아니면 반드시

나무의사들에게만 진료, 처방을 받게 되었습니다.

 

 

나무의사 자격은 산림청과 한국임업진흥원이 실시를

하는 국가전문 자격이기에 반드시 시험을 응시하고

합격을 해야지만 자격증을 취득 후 활동이 가능합니다.

 

시험은 1차와 2차 두 가지로 나뉘어져 있고,

1차 합격자에 한해 2차 시험 응시가 가능하죠.

 

1차는 총 다섯과목, 객관식 5지

택일형으로 문제가 출제되며,

 

각 과목들을 100점 만점에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 받아주셔야 하고,

 

2차 시험의 경우는 논술형과

작업형으로 구성이 되며

 

이 또한 100점을 만점으로 각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 받아주셔야 합격입니다.

 

그리고 1차에 합격한 사람에 한해 합격한 날로

2년 동안 1차 시험에 면제가 되기에 굳이 바로

2차 시험을 응시하지 않아도 무관하죠.

 

 

하지만 나무의사는 국가전문자격이기에

응시자격 조건이 붙기 마련인데요,

 

응시자격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 단 하나라도

충족을 해주신다면 시험 응시가 가능합니다.

 

응시 자격 조건은

1. 수목치료기술자 자격 취득+실무경력 4년 이상

2. 수목진료 관련 계통의 석사학위 or 박사학위

3. 수목진료 관련 계통의 학사 학위+실무경력 1년 이상

4. 관련 직무 분야의 실무 경력 5년 이상 등이 있는데

 

사실 위 네 개의 자격 조건은 모두 시간이 오래

걸리고 관심을 가진지 얼마 안 되신 분들이라면

빠르게 조건을 충족시키기는 어렵습니다.

 

물론 전문지식을 쌓는다 생각할 수는 있겠지만 시간이

오래 걸려 중간에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들기 마련이죠.

 

그럼 단기간으로 응시자격을 충족하기엔 역부족일까요?

 

아니죠, 아직 한 가지가 더 남았습니다.

 

바로 관련 직무의 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증

취득해주시면 응시자격 충족이 가능하죠.

 

여기 관련 직무로 인정이 되는 산업기사는

식물보호산업기사, 조경산업기사 그리고

산림산업기사가 있습니다.

 

 

그러나 산업기사 역시 국가 기술 자격이라

시험을 보기 위한 응시자격 조건이 따라 붙습니다.

 

응시 자격 조건에는

1. 기능사 취득+실무경력 1년

2. 관련학과 전문대 이상 졸업(예정)자

3. 동일 직무 순수 실무 경력 2년

등이 있는데,

 

여기서 관련 학과는 식물관련, 식물보호관련 동일직무는

조경 관리 분야의 근무를 하셨다면 도움되겠죠?

 

그렇지만 전혀 관련 없는 학과를

졸업하셨거나 실무 경력 제로인

분들도 산업기사 시험 응시가 가능한데요,

 

바로 학점은행제를 통해 41학점을 이수해주신다면

이 또한 응시자격이 충족되어 시험 응시가 가능합니다.

 

 

학점은행제는 교육부가 주관하는 평생교육제도로

고졸 이상의 학력만 소지하고 계신다면 학위와

자격증 취득, 그리고 시험의 응시자격을 맞추는데

활용할 수 있는데요,

 

모든 과정이 온라인으로 진행이 되기 때문에 인터넷이

가능한 곳 어디서든 강의 이수가 가능하고 비용도

절감되기에 누구나 문제없이 과정 진행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만약 학위를 취득하신다면

편입이나 대학원에 진학도 가능하죠.

 

 

지금까지 나무 의사 응시자격 맞추는

법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았는데,

 

저 나름대로 정리한답시고 설명을 드렸지만

글로만은 완전한 이해가 되지는 않으실거라 생각됩니다.

 

혼자 나무 의사 응시자격을 알아보고 맞추시려면

조건들이 너무 까다로워서 엄두조차 못내시겠지만

 

나무의사 시험 응시자격조건인 산업기사

응시자격을 맞춰드리는 것에는 저 산호쌤이

그 누구보다 열심히 도와드리겠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거나

산업기사 자격증 취득을 원하실 경우에는

 

위 이미지 참고하셔서 시간 요일 구분없이

문의 남겨주시면 자세한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들의 꿈을 응원합니다.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